단양 구인사 (바르게살기운동 독산2동위원회 단합대회, 2011.11.02)
바르게살기운동 독산2동위원회 단합대회
대한불교(大韓佛敎) 천태종(天台宗) 총본산(總本山) 구인사(救仁寺)
충북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132-1
(2011.11.02)
대한불교(大韓佛敎) 천태종(天台宗)
대한불교 천태종 홈페이지(http://www.cheontae.org/)에서 옮긴글
지금부터 약 1400여년 전인 594년 수나라 개황 14년 중국의 지자대사(智者大師)가 법화경을 중심으로 5시 8교 교관과 일심삼관의 수행법으로 선(禪)과 교(敎)를 통합하여 만든 종파(宗派)다.
지자대사가 계시던 산이 천태산이므로 그 이름을 따서 천태종이라 한다. 우리나라에 처음 천태교학이 들어온 것은 삼국시대 초기 백제 현광법사로 부터 비롯되었으며, 정식으로 천태종이 개립된 것은 고려 숙종 2년 대각국사 의천 스님에 의하여 국청사에서 천태종이 설립되었다.
이후 조선조 억불정책에 따라 5백여년 동안 역사 속으로 은몰되었던 천태종(天台宗)은 근세에 이르러 상월원각 대조사(上月圓覺大祖師)에 의해 중창되어 일천한 역사에 도 불구하고 경이적인 발전을 이루어 가고 있다.
천태사상 성립
천태란 원래 산 이름이다.
천태산은 중국 절강성 태주부에 위치한 산으로서 천태대사 지의(天台大師 智 ; 538-597)가 이곳에서 수행한 이후로 불교의 성지가 되었다. 대사는 중국 남북조 말기에서 수나라 사이에 활약한 대덕고승 으로서 속성은 진(陳)이고 이름은 덕안(德安)이다. 출가한 후에는 지의라고 하였으며, 또 수양제가 부른 존칭을 가지고 지자대사(智者大師)라고도 불린다. 대사를 흔히 천태대사라고 하는데, 이것은 대사가 천태산에 머물며 수행하였다고 해서 붙인 호칭이다. 그리고 대사가 거주한 산명을 따서 그 종파를 천태종이라고 한 것이다.
천태교의의 성립은 진나라 문제(文帝) 천가원년(天嘉元年; 560)에 천태대사가 광주(光州)의 대소산(大蘇山; 현재 하남성 남부)에서 혜사선사[南岳慧思]의 가르침을 받아 법화삼매를 깨달은 것에서부터 비롯된다. 대사는 이후에 혜사선사의 명을 받아 대소산을 나와서 당시의 도읍인 금릉(金陵)에서 포교하고 있었는데, 와관사(瓦官寺)에서 『법화경』을 강설하게 되었다.
대사는 와관사에서 8년간 교화하고는 천태산으로 들어가 수행하였고 이후에 형주(荊州; 지금의 호북성)와 양주(揚州; 지금의 강소성) 등지에서 교화하였는데, 이때의 강설은 그 대부분이 제자 장안관정(章安灌頂; 561-632)의 기록으로 후대에 전하게 되었다.
여러 강설 중에서 진 정명원년(陳 禎明元年; 587) 대사 나이 50세에 금릉의 광택사(光宅寺)에서『법화경』의 경문을 강설한 것과, 수 개황13년(隋開皇, 十三年; 593)3월 대사 나이 56세에 형주의 옥천사(玉泉寺)에서‘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5자를 강론한 것과, 또 다음 해 4월 옥천사에서 법화의 관심수행을 강의한 것이, 각각『법화문구』ㆍ『 법화현의』ㆍ『마하지관』이다.
이것이 바로 법화3대부 또는 천태3대부라고 일컬어지는 천태종의 중심 저작이다. 이런 견지에서 천태교의의 성립시기를 구한다면 3대부 강설을 종료한 때일 것이다.
대한불교(大韓佛敎) 천태종(天台宗) 총본산(總本山) 구인사(救仁寺)
대한불교 천태종 총본산 구인사 홈페이지(http://www.guinsa.org/)에서 옮긴글
대한불교천태종의 총본산으로 상원월각 대조사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1백67만 천태종도들의 근본수행도량이다
또한 소백산 국망봉을 중심으로 장엄하게 늘어선 봉우리 가운데 연화봉나래로 펼쳐진 연꽃잎을 연상시킨다 하여 연화지라 불리는 이곳은 신비로운 산세로 인해 대승영지로 알려져 왔다
상월원각 대조사님께서 흥법호국과 구세제중의 염원을 펴시기 위해 해방되던 해인 1945년에 소백산 연화지에 사찰을 창건하시고 억조창생 구제중생 구인사(億兆蒼生 救濟衆生 救仁寺)라 명명하신 것이 구인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 칡덩굴을 얽어 삼간초암을 짓고 뼈를 깍는 정진 끝에 대도를 성취, 감로법우의 새 교화문을 여시니, 그 미묘한 법력과 도풍덕호를 쫓아 수많은 문법제자들이 운집했다.
오늘에 이르러 우리나라 최대의 관음 영험 사찰로 방돋음한 대한불교 천태종 구인사는 부처님의 영험이 많고 신비스런 기도처라 이름나 있으며 누구든지 소원을 빌면 장 이루어진다 하여 더욱 유명하다
소백산 구인사 입구 표지석
한창 공사중인 구인사 입구
단양 구인사 입구 주차장으로 관광버스는 이곳에 관광객을 내려놓고 산 아래 다른 주차장으로 간다
단양 구인사 입구 공사중인 중장비가 보인다
단양 소백산구인사 일주문
단양 구인사 경내
단양 구인사 천왕문(天王門)
단양 구인사 천태종 남북평통 세계평화 기원비(天台宗 南北平統 世界平和 祈願碑)
단양 구인사 경내 전각
단양 구인사 구내 전각옹벽
단양 구인사 경내 단풍
단양 구인사 경내 단풍
단양 구인사 경내 단풍
단양 구인사 경내 전각과 육교
단양 구인사 설법보전(說法寶殿)
단양 구인사 경내 장독대
단양 구인사 김장을 담그고 있다
단양 구인사 전각과 육교
단양 구인사 천왕문
단양 구인사 관광버스가 올라오고 있다
단양 구인사 단풍
단양 소백산구인사 표지석 앞에서
단양 구인사 공사중인 현장
단양 구인사 공사중인 현장
단양 구인사 공사중인 현장
단양 구인사 공사중인 부처님
단양 구인사 저녁이 되며 하늘에서 달이 우리를 안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