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 충남 서산시 부석면
(2020.11.10)
충남 서산시 부석면, 경북 영주시 부석면에 한자(漢字)로도 이름이 같은 부석사(浮石寺)가 있다.
서산 부석사에서 친절하신 해설사를 만나 부석사에 대하여 좋은 해설을 들었다.
영주 부석사와 서산 부석사는 신라스님으로 당나라에서 불도를 공부하고 돌아온 의상대사가
의상대사를 사모하다 죽은 당나라의 "선묘낭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창건하였다고 한다.
절 창건 이야기가 경내에 "못이룬 사랑 용이되어"라는 안내문이 있다.
서산 부석사 하면 "금동관음보살좌상"이 몇해 전에 떠들석 하였는데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말경 왜구에 의해 약탈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일본 대마도 관음사에 있었는데 문화재절도단에 의하여 국내로 밀반입 되었고
불상내부 조사에 의하여 사산 부석사에서 조성된 불상이 밝혀졌다고 한다.
일본에서 계속 반환을 주장하고 있으며 불상을 어디에 모실지 국내에서도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지금은 대전국립문화재연구소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못이룬 사랑 용이되어
신라 제28대 임금 진덕여왕 4년 서기 650년에 <복흥사>라는 절에 의상대사라는 승려가 있었다. 의상대사는 큰 뜻을 품고 당나라에 들어가 지장사에서 지엄법사라는 노(老) 스님을 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공부(불도)를 하였다.
나이 많아 시작한 공부지만 얼마나 열심히 공부를 하였는지 의상대사는 스승으로부터 칭찬을 많이 들었다.
이때 지장사 아랫마을에는 젊고 예쁜 "선묘낭자"라는 처녀가 살고 있었는데, 이 낭자는 신라에서 온 의상대사를 흠모하게 되었다.
그러나 의상대사는 이러한 사실도 모르고 열심히 공부하여 마침내 문무왕 1년에 신라로 돌아가게 되었다. 의상대사가 고국으로 돌아간다는 말을 들은 낭자는 떠나기 전날, 의상대사를 찾아와 사랑을 고백하였고 이에 의상대사는 불도를 닦는 사람으로서 불가함을 설명하자 물러 갔다.
다음날, 의상대사가 배를 타려고하자 그 낭자가 어느새 승복차림에 "결혼은 못하더라도 스님 곁에서 나도 불도를 배우겠다."고 말하자 의상대사는 다시 점잖게 꾸짖으며 집으로 돌아갈 것을 권하였다. 하지만 아무리 애원해도 의상의 마음이 움직여지지 않을 것을 안 낭자는 죽을 것을 결심하고 깊은 바다에 풍덩 ! 뛰어 들고 말았다.
의상대사는 자기 때문에 죽은 낭자를 생각하며 몹시 괴로워 하였는데, 죽은 낭자가 용이 되어 의상대사가 탄 배를 따라 신라까지 오는 것이 아닌가! 그리고는 의상대사가 가는 곳마다 숨어 따라 다니고 있었다.
어느날, 의상대사가 자기 때문에 죽은 낭자를 생각하고 그 여자의 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절을 세우기로 작정하고 절 터를 찾았다. "당나라의 그 낭자를 위해 아담한 절을 창건하여 그의 넋을 위로하리라" 의상대사는 이곳저곳 절터를 물색하다가 서산군 부석면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로 하였다. "산수가 수려하고 앞에 바다가 탁 트였으니 그 낭자가 좋아할 것 같아!" 의상대사는 좋은 곳에 절을 짓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였으며, 그 때가 문무왕 10년이 되는 해였다.
그러나, 그곳 동네 사람들은 도비산에다 절을 짓는 것을 반대하였다. 동네 사람들이 반대하는 데도 의상대사는 절 짓는 일을 계속하였으며 사람들은 거의 다 지어가는 절을 쇠스랑을 들고 쫓아 와서 부수어 버리려고 하였다. 동네 사람들이 흥분하여 절에 불을 지르려고 할 때 갑자기 큰 바위가 공중에서 둥둥 떠오더니 바위가 큰 소리로 말하는 것이었다. "모두 듣거라. 너희들이 절 짓는 것을 계속 방해하면 이 바윗돌로 너희들 머리를 부수겠다. 지금 당장 물러가거라! 머뭇거리고 있는 사람은 내가 가만두지 않을 것이다."하고 산이 흔들리도록 큰 소리로 꾸짓는 것이었다.
동네 사람들은 혼비백산 쫓겨 가면서도 이것이 어찌된 일인지 알도리가 없었다.
의상대사는 생각하기를 "저 바위는 당나라 낭자가 용으로 변하여 그 용이 다시 바위로 변하여 나를 도와주는 거야!" 의상대사는 새삼, 죽은 낭자가 가엾다고 생각되었다.
바위는 훌쩍 날아가 절에서 바로 보이는 바다에 떠 있으면서 절 짓는 공사를 지켜보고 있었다. 사람들은 이 돌을 물 위에 떠 있다 해서 "부석"이라고 이름을 지었으며 절 이름도 "부석사(浮石寺)"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서산 부석사 안내문 내용>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입구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극락전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극락전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입석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산신각 선묘각 용왕각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마애불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앞 전경, 서해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앞 전경, 서해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금종각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금종각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석사
못이룬 사랑 용이되어
'국내 여행 > 절집 참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월암, 충남 서산시 부석면 (0) | 2020.11.13 |
---|---|
화성시 송산동 용주사 (0) | 2020.05.23 |
용인 법륜사 (0) | 2019.06.13 |
용인 와우정사 (0) | 2019.06.13 |
02. 울진군 금강송면 하원리 불영사. (BTN. 절문화탐방. 2017.11.19) (0) | 2017.11.23 |